챗 GPT 회원가입 및 사용법 (공식 사이트)
지금부터 챗 GPT(Chatgpt) 공식 사이트 회원가입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시중에 공식 챗 gpt와 매우 비슷한 이름 및 로고를 가지고 있는 인공지능(AI) 서비스들이 많다. 처음 챗 GPT를 사용하실 분들이라면 공식 사이트가 어떤 것인지 헷갈릴 수 있다. 이에 공식 사이트 구별 방법도 추가로 설명하고자 한다.
챗 GPT 회원가입 방법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chatgpt]라고 검색해 준다. 그리고 하기 이미지에 있는 링크를 클릭해 준다.
공식 사이트 구분 방법은 옆에 OpenAI라고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OpenAI가 챗 gpt 개발사이기 때문이다.
ChatGPT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Start now]를 클릭해 준다.
회원가입 창이 뜨면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해 준다.
해당 단계를 진행하다 보면 이메일 인증과 핸드폰 번호 인증까지 완료해야지만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챗 GPT 사용방법 및 꿀팁
회원가입을 완료하였다면 방금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준다. 그러면 GPT 3.5 버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버전의 월 이용료는 0달러이며, 일상적인 작업 환경에 활용이 가능하다.
대화창에 질문하고 싶은 내용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챗 GPT가 생각하는 답변이 정리되어서 표시될 것이다.
여기서 꿀팁 하나를 준다면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고 생각될 때에는 질문 문장을 최대한 간결하고 명령조로 하면 조금 더 명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대화창 아래에 표시된 것처럼 ChatGPT도 실수할 수 있고, 중요한 정보는 사용자가 별도로 확인해야 하니 꼭 주의하길 바란다.
마치며
지금까지 챗 GPT 공식 홈페이지 회원가입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개인적으로는 챗 GPT 3.5 버전은 유료 버전의 체험판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가장 큰 이유는 3.5모델의 반응 속도가 느리며,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답답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유료 버전 4.0모델과 4o 모델의 경우, 속도도 빠르고 이해도도 높지만 매달 20달러를 결제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