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제습과 제습기 제습의 차이점 제대로 파악하기

장마철 비가 유독 많이 오는 날에는 제습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다. 에어컨 제습기능으로 올 여름을 버틸지 아니면 제습기를 구매해야할지 고민이 될 것이다. 이에 에어컨 제습 기능과 제습기 제습의 차이점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고자 한다.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 제대로 제습을 하지 않으면 집안이 습하고 이상한 냄새가 나기 쉽다. 기온이 높지 않아도 습도가 높다면 불쾌지수가 높아질 것이다.



특히 장마철에는 실내 습도가 70% 이상 높아질 수 있는데, 사람이 실내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습도는 40%~60%로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에 습도 조절을 위해 여름 장마철에 에어컨 제습 기능과 제습기 기능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좋을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제습은 공기 외에도 각종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잇는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제습의 구체적인 방법은 기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제습의 원리는 비슷하다.


에어컨 제습기능 혹은 제습기를 사용하게 되면 기계를 통해 습한 공기를 흡입한다. 흡인한 습한 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건조한 공기와 물방울로 분리된다.


이 과정을 거친 다면 건조한 공기를 밖으로 배출되고, 물방울은 각자의 배수로를 통해 배출된다.


하단에 첨부한 제습 원리 이미지를 참고하면 조금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1. 습한 공기 흡입

2. 열교환기(증발기) 표면 접촉

3. 이슬/물방울로 변환

4. 열교환기(응축기) 표면 접촉

5.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 밖으로 배출





첫 번째 차이점으로 에어컨은 제습 기능을 작동해도 실내가 시원하지만 제습기는 실내가 더워진다는 것이다.


이는 에어컨은 실외기가 외부에 있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낼 수 있지만, 제습기는 별도의 실외기가 없어 바로 뜨거운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차이점은 에어컨의 제습 기능은 '실내 온도' 기준으로 작동되며, 제습기는 '실내 습도' 기준으로 작동된다는 것이다.





에어컨만으로도 냉방과 제습이 동시에 가능하다. 하지만 장마철처럼 습도는 높지만 온도가 낮은 경우 어떠할까 생각해보자.


우선 에어컨을 오랫동안 작동시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렇다고 온도를 높게 설정하면서 제습기능을 사용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또한 에어컨을 끄고 나면 습도가 더욱 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는 같은 양의 습기가 공기 중에 생겨도 온도가 낮으면 체감되는 습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에어컨의 주된 목적은 실내 온도를 낮추는 데 있으며, 어느 정도의 제습효과는 있지만 습기가 유독 많은 장마철에는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좋다.